chatGPT(7)
-
MedAlpaca 의학, 의료전문 chatGPT의 등장
의학, 의료전문 gpt, chatGPT인 MedAlpaca란? medalpaca-13b는 의료 분야 작업을 위해 특별히 미세 조정된 대규모 언어 모델입니다. LLaMA(대규모 언어 모델 메타 AI)를 기반으로 하며 130억 개의 파라미터를 포함합니다. 이 모델의 주요 목표는 의료, 의학에 적합한 질문과 답변 및 의료에 특화된 대화형 인공지능을 개선하는 것입니다. MedAlpaca의 학습 데이터 medalpaca-13b의 프로젝트의 학습 데이터는 다양한 리소스에서 가져왔습니다. 먼저 Anki 플래시카드를 사용하여 카드 앞면에서 질문을 생성하고 카드 뒷면에서 답변을 자동으로 생성했습니다. 둘째, 위키닥(wikiDoc)에서 의학관련 질문과 답변 쌍을 생성했습니다. 관련 제목이 있는 단락을 추출하고 ChatGP..
2023.04.19 -
Vicuna : an open source chatbot impresses GPT-4 with 90% of the quality of ChatGPT
Vicuna, At a glance Rapid advances in large language models (LLMs) have revolutionised chatbot systems, resulting in unprecedented intelligence like OpenAI's ChatGPT. Despite its impressive performance, however, research and open source innovation in the field is hampered by the fact that the details of ChatGPT's training and architecture remain unclear. Inspired by Meta-LLaMA and the Stanford A..
2023.04.05 -
Cerebras releases open source ChatGPT-like alternative models
Artificial intelligence chip startup Cerebras releases open source ChatGPT-like models on 2023/03/28 Tuesday said it has released open source ChatGPT-like models for the research and business community to use for free in an effort to foster more collaboration. Cerebras released seven models Cerebras released seven models, all trained on its Andromeda Artificial intelligence supercomputer, includ..
2023.03.29 -
The new Microsoft Teams is here with 3 biggest upgrades
Microsoft has introduced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capabilities to its collaboration tool, Teams, making it faster and more flexible. Official blog on March 27, 2023, Microsoft announced a new version of the Teams app with copilot-based AI capabilities. The full version will be available later this year, along with a version for Apple Mac. The biggest feature of the new Teams, which was..
2023.03.29 -
카카오 다다음 오픈베타, 한글에 적합한 chatGPT 경쟁자 등장하나
카카오 및 카카오브레인은 chatGPT로 대표되는 인공지능 챗봇 서비스와 경쟁하는 다다음의 베타 서비스에 이어 오픈베타 서비스를 2023년 3월 19일부터 시작하였습니다. 카카오톡에서 채널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던 다다음 서비스는 영어권 문서를 더 많이 우선했던 인공지능 챗봇(chatGPT 및 마이크로소포트의 검색엔진 BING의 챗봇, 노션 AI)와 비교하여 한글에 더 최적화된 데이터셋을 우선적으로 기반하여 만들어졌습니다. 실질적으로 일반사용자가 멀티모달 서비스로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것으로는 현재까지는 유일하게 GPT-4 기반의 멀티모달 서비스로 chatGPT Plus(유료서비스 가입시만 가능)만 멀티모달 기능을 사용할 수 있었는데, 다다음(ddmm) 역시 텍스트 to 이미지 등의 서비스를 챗봇과의 ..
2023.03.20